목록교리와 신학 (39)
theos & logos
깔뱅이 말하는 ‘잘 정돈된 삶’으로서의 기독교인의 삶의 방식 / 김선권 박사(호남신대) “깔뱅(칼빈)은 하나님 말씀에 따라서 잘 정돈된 삶, 잘 정돈된 교회, 잘 정돈된 사회와 국가에 대한 비전을 갖고 있었다. 기독교인의 삶은 결국 하나님 말씀에 따라서 그의 인생 즉, 기원과 의미, 목적을 잘 설정하는데 있다.”김선권 박사는 ‘잘 정돈된 삶’으로서의 기독교인의 삶의 방식에 대한 네 가지 원칙을 제시했다. 김 박사는 ..
자살한 사람도 구원받을 수 있는가? / 신원하 교수(고려신대원, 기독교윤리) “자살이 하나님의 주권을 침해하는 큰 죄임에는 의심의 여지가 없지만 자살한 사람이 그것 때문에 영원한 저주에 처하게 된다는 주장은 신학적으로 충분한 근거가 없다. 자살자는 자살하는 순간 죄를 회개하지도 못하고 죽지만 하나님은 그 특정 행동만으로 그 사람을 판단하지 않는다.”‘자살한 이들은 구원받지 못한다’는 통설이 과연 어디에..
마틴 루터와 존 웨슬리에게 있어 그리스도와 율법의 관계 / 장기영 교수(서울신대) 장기영 교수는 서론 부분에서 “마틴 루터와 존 웨슬리에게 있어서 율법은 단순히 많은 신학 주제들 중 하나가 아니라 기독교신학 전반을 꿰뚫는 중심주제였다”며 “그들의 율법관은 신론, 기독론, 성령론, 구원론, 인간론, 기독교 윤리 등의 주제들을 형성하며, 그 주제들과 잘 조화돼 있다”고 설명했다.장 교수는 “이번 발표에서는 율법관을 중심..
어거스틴의 원죄에 대한 신학적 이해와 현대적 의미 / 황덕형(서울신대) “어거스틴의 원죄론은 인간 현상에 대한 현상학적 사유의 깊이를 제시하면서 인간을 은총 하에 이해하도록 만드는 신학의 존재론의 기초를 형성한다.”황덕형은 “어거스틴은 가장 이성적으로 수행된 계시의 현상학적 논의는 비표상적 사유방식이 강조되고 있는 이 시대의 불확실성을 하나님의 구원사의 길로 변혁시킬 수 있는 능력을 갖고 있음을 보여줬다”고 주장했다 그의 연구목차는..
예수 그리스도의 삼중직의 필요성과 박형룡에 의한 그리스도의 왕직 / 최정자(삼위일체교회, Th. D.) “박형룡의 그리스도의 왕직은 개혁파 정통주의 신학자들처럼 그리스도의 왕직 가운데 하나님 나라를 세 가지로 구분하는데, 그리스도인과 교회와 관련된 선택된 구속의 영역에 속하는 은혜의 나라, 자연의 나라, 즉 능력의 나라, 영광의 나라가 있다.”최정자는 서론에서 “그리스도의 삼중직에 대한 부정적인 시각에도 불구하고, 우리가 여전히 그리..
깔뱅의 신론에 관한 연구 / 최윤배(장로회신학대학교) “칼빈은 하나님에 대한 지식과 우리에 대한 지식을 상호 밀접한 관계 속에 있는 것으로 이해했다. 그에게 성경은 하나님의 이중지식을 알려주는 하나님의 말씀이다. 하나님의 속성과 관련하여 칼빈은 하나님의 사랑과 공의를 균형 있게 강조했다.”최윤배는 서론에서 “칼빈의 ‘기독교강요’를 중심으로 그의 다른 작품들과 중요한 제2차 문헌들을 참고하면서 칼빈의 신론을 기술하고자 한다”고 밝히고 ..
성령훼방죄에 대한 연구 / 유정선(한국성서대학교) “성령훼방죄는 하나님의 아들이신 예수 그리스도께서 인류의 구원을 위해 성취하신 대속의 십자가를 공개적으로 부인하고 회개하지 않음으로 온 인류의 구세주되심을 정면으로 거부하는 것이다.”유정선은 “성령에 대한 관심이 지배적인 오늘의 상황에서 성서가 말하는 성령훼방죄에 대한 연구를 통해 이에 대한 현대적 적용 가능성을 생각해 보고자 한다”며 “성령훼방죄의 어원적 의미와 복음서에서 발견되는 ..
박형룡 신학에서 교회의 본질-삼위일체론적 교회론 / 방선영(산본교회, Th. D.) 방선영은 박형룡의 교회론의 본질을 논하면서 박형룡의 교회는 본질적으로 삼위일체론적 교회가 된다고 주장했다. 박형룡에게 교회는 삼위일체론적으로 하나님의 선택된 백성들의 모임, 그리스도의 몸, 성령의 전이 된다는 것이다. 따라서 박형룡의 ‘교회론’은 본질적으로 정통신학 노선을 따르는 개혁신학이라는 결론을 도출한다.방선영은 서론에서 “교회는 성부, 성자, ..